no image
'커머스 서비스로 배우는 NestJS 실전 개발' 완강 후기
'커머스 서비스로 배우는 NestJS 실전 개발' 강의 완강했습니다.  강의 듣게 된 계기이 강의는 NestJS 단톡방에서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김빌이라는 개발자분께서 강의를 오픈하셨다고 얼리버드 할인 중이라 하시길래 한번 구성을 살펴나보자 했는데 구성이 꽤 괜찮더라구요.  제가 가장 끌린 부분은 두 가지였습니다. 첫번째는 대형 서비스 기업 개발자의 코드를 볼 수 있다는 점이였고, 두번째는 Kafka로 리팩토링하는 강의였습니다.  회사에서 항상 개발을 하며 들었던 생각이 있는데요, '이 코드/구조가 대형 서비스에서도 유효할까?' 였습니다. 항상 대형 서비스의 NestJS 코드를 보고, 배우고 싶은 생각이 있었으나 NestJS 에선 관련 강의도 블로그 글도 찾아보기가 어렵더라구요. 또 주변에 대형 서비스..
2025.04.07
no image
웹 사이트 버그 찾아서 제보한 후기
몇 년 전부터 잘 사용해오던 웹 사이트가 있습니다. 어느 날 게시글을 올리려고 글을 써서 '게시글 등록' 버튼을 눌렀는데 아무런 반응이 없는 .. 문제를 마주쳤습니다. 예전이라면 '왜 이러지? 오류났나?' 하고 말았을텐데, 요즘은 이런 버그를 보면 뜯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더라구요. 그래서 뭐가 문제인지 한번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먼저 '게시글 등록' 버튼을 눌렀을 때 서버와 제대로 통신이 되는지를 확인하기로 했습니다. 역시나 게시글 등록 버튼 클릭 시 서버로 post 요청이 날아가는데 이 요청이 실패되어 있었습니다.  에러 메시지를 통해 서버로 요청보낼 때 Body에 담기는 expectPeriod 필드 값에 문제가 있는 것 같았습니다. 게시글을 등록할 때 진행 기간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부분(1개월,2개..
2025.01.31
no image
로드 테스팅 툴 '신기전' 개발 후기
지난 2024년 10월 말, 회사를 다니는 내내 생각만 했던 CLI 기반 API 로드 테스팅 툴 '신기전' 프로젝트 개발을 마쳤습니다. 신기전 홈페이지신기전 깃허브1. 신기전을 만들게 된 이유당시 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DB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조회하고 가공하여 리턴하는 REST API 를 만들었었는데 이때 API의 속도가 조금 느려 클라이언트 화면에서 조금 버벅거렸던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 API 성능 테스트에 필요성을 느꼈고 찾아보기 시작했습니다. 성능 테스트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한 후엔 node 진영에서 가장 메이저한 Artillery 와 Postman 을 사용해봤습니다. 둘 다 만족스럽게 사용했습니다.  두 툴을 만족스럽게 쓰긴했지만 한편으로는 조금 더 빠르고 간편하게 테스트를 하고 싶다는 생..
2025.01.16